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미니멀리스트를 위한 크리스마스 트리디자인

크리스마스 트리 이야기

by 뉴욕트리엘프 2022. 10. 23. 22:31

본문

안녕하세요 뉴욕트리엘프 트리 플래너 엘로디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맥시멀리스트를 위한 트리 디자인을 소개해드렸는데요. 이번에는 그 반대로 여백의 미와 깔끔함을 분들을 위한 미니멀리스트를 위한 크리스마스 트리 디자인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화려하고 웅장하며 때로는 과하다 싶은 것처럼도 느껴지는 크리스마스 트리를 선호하는 분들이 많은 미국도 미니멀한 트리를 애정 하는 트렌드가 없는 건 아닙니다! 미드 센츄리(mid-century)와 북유럽풍의 절제된 디자인의 유행에 맞는 크리스마스 트리를 원하는 분들이 있는 거겠죠. 2022 크리스마스 트리 트렌드 포스팅에서도 다루었지만 유행은 단어 그대로 유동적인 흐름으로 많은 것에서 영향을 받고 항상 움직이며 진화합니다. 크리스마스 트리 역시 패션이나 인테리어의 트렌드에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그럼 미니멀한 트리 디자인을 소개해볼게요~!

 

1.  앙상한 나무가지 

풍성하고 빼곡하게 차있는 가지를 선호하는 트렌드와는 달리 앙상하고 자연스러운 스타일의 트리입니다. 보시는 것처럼 절제된 인테리어와 화이트 톤으로 꾸며진 공간에서 많이 보입니다. 연말 기분을 내고는 싶은데 화려한 건 내 취향이 아니다 싶은 분들에게 추천해드리고 싶어요. 

 

좌: designwash.net, 우: modernistikodikas.fi

 

2. 무장식 트리 

최근 한국에서도 유행 중인 무장식 트리는 크리스마스 트리에 장식을 하지 않고 전구만 두른 형태입니다. 쉐잎이 예쁘거나 가지가 꽉찬 트리는 전구만 둘러도 굉장히 예쁘답니다. 전구의 수가 더 많아질수록 별이 촤르르 쏟아지는 듯이 아름답게 표현할 수 있구요. 

 

좌: architecturaldigest.com

 

 

3. 북유럽 풍의 오너먼트 

스칸디나비안 디자인이 큰 인기를 끈지는 사실 오래되어서 새 트렌드라고는 보기 힘들지만 좀 더 오가닉하고 자연스러운 방향의 오너먼트가 많이 출시되어 소비자에게도 선택권이 많아진다는 건 이득이겠죠?! 건축 모형을 만들 때 많이 쓰이는 얇은 발사나무로 조립된 장식이나 비즈 장식이 많은 게 특징입니다. 

 

좌: studio-mcgee.com, 우: lovecreatecelebrate.com

 

farmhousepottery.com

 

 

4.  나무 막대기 디자인 

모든 크리스마스 트리가 잎사귀가 달린 초록색 이어야 한다는 건 고정관념인가 봅니다! 이렇게 진짜 혹은 인공 크리스마스 트리 대신 간결하면서도 재활용이 되는 디자인도 있답니다.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아 작은 아파트나 스튜디오, 방에도 알맞네요! 

 

좌: onetwotree.com.au, 우: media.leroymerlin.fr

 

5.  2D

트리가 입체적이지 않고도 충분히 간결하면서도 멋지게 표현할 수 있다는 걸 증명하는 디자인입니다. 여백의 미가 돋보이며 집에서도 충분히 DIY가 가능하니 적은 예산으로도 기쁨을 가져다주는 고마운 존재라고 보고 싶어요. 

 

중: mamaandmore.com, 오: coxandcox.co.uk

 

이렇게 미니멀한 디자인의 크리스마스 트리를 소개해드렸는데요. 상식을 깨고 "오, 나쁘지 않네!" 하고 느끼신 디자인이 있으셨다면 포스팅에 좋아요 눌러주세요! 그럼 모두들 미리 크리스마스~!

 

 

* 출처를 언급하지 않은 참고 이미지는 뉴욕트리엘프의 이미지가 아닙니다. Images used without sources stated don't belong to NY Tree Elf. 

 

 

뉴욕트리엘프 런칭 소식 

https://nytreeelf.tistory.com/18

 

뉴욕트리엘프 크리스마스 트리 대여 및 디자인 서비스 런칭

안녕하세요 뉴욕트리엘프 대표 엘로디입니다- 고급 크리스마스 트리 대여 및 디자인 전문 서비스, 뉴욕트리엘프가 드디어 런칭하여 많은 분들께 기쁨을 드리기 위한 준비가 되었다는 즐거운 소

nytreeelf.com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